한부모 가정의 유형
1. 한부모가정의 유형
- IMF 이후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이혼을 하는 등 다양한 이유로 가족이 해체되었고
어려움을 견디지 못하고 자달 등으로 유기되는 아동이 많이 발생하였다.
(1) 이혼에 의한 한부모가정의 아동
* 이혼은 생존하고 있는 배우자 간 협의에 의해 재판상 절차를 거쳐 진행한다.
* 자녀가 있는 경우 이혼은 부모의 한쪽과 자녀로 구성된 한부모 가정이 되는 것이며
자녀의 양육권은 협의 혹은 법으로 결정이 된다.
* 과거에는 전쟁으로 한부모가정이 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재는 질병이나 사고로
한쪽 부모가 사망하여 한부모가정이 되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3) 유기에 의한 한부모가정의 아동
* 부부가 별거하고 있는 상태에서 부부 중의 한쪽이 자녀를 양육하는 경우를 말한다.
( 부부 란 법적으로 혼인관계에 있는 부부와 미혼의 부부를 모두 포함 )
* 일반적으로 편부 가족보다 편모 가족이 많고 배우자 유기는 고의적인
것으로 주로 부에 의해 발생한다.
(4) 미혼에 의한 한부모가정의 아동
* 법적으로 부부가 아닌데 자녀를 낳아 키우는 경우를 말한다.
* 한 번도 결혼한 적이 없는 상태로 부모가 된 미혼부모를 말하지만
자신의 배우자 이외의 사람과 관계를 맺어 부모가 된 기혼 부모까지도 포함한다.
(5) 조손가정
* 조부 모와 그의 손자녀 만으로 이루어진 가구로 손자녀의 양육자인 조부모가
생계를 꾸리며 가족을 대표하고 손자녀에 대한 양육의 책임을 지고 있는 가정을 말한다.
( 만 18세 미만의 3세대와 1세대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가정을 조손가정으로 정의 )
(6) 청소년 한부모가정
* 만 24세 이하의 청소년이 부모가 되어 자녀를 키우는 경우를 말한다.
* 청소년기에 임신 출산 양육의 부모역할을 해야 하는 상황으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고
가족과의 단절 등이 초래되어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경우가 많고
영유아 자녀의 양육에 대한 어려움이 크며 경제적 능력의 부족으로
빈곤계층으로 진입할 위험이 높은 가정이다.
... 한부모 가정하면 단순하게 생각했었는데 한부모가정에도 이렇게 다양한 사례가 있고
또 사례들을 들어보면 몰랐던 부분은 아닌데 무지가 아니라 무심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부모 가정에서 자라는 아동들이 다 같지는 않겠지만 분명 도움이 절실한 사례도 많은 것 같다.
.................. 사회복지사 공무를 하며 정리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