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준비!

한부모 가정의 현황

작은꿈쟁이 2020. 7. 22. 08:51

1. 한부모가정
  한부모가정은 이혼, 별겨, 사별, 유기, 미혼모/부 등의 사유로 자녀와 부모 한 사람의 가정을 뜻한다.

2. 한부모가정의 현황
   - 한부모 가족의 수는 아래와 같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 1990년 : 89만 가구로 전체가구의 7.8%
* 1995년 : 96만 가구로 전체가구의 7.4%,
* 2005년 : 137만 가구로 전체가구의 8.6%
* 2010년 : 159만 가구로 전체가구의 9.2%

   - 혼인상태별 한부모가구의 비율
* 사별로 인한 한부모가구 비율 감소 : 1990년 56% -> 2010년 29.7%
* 이혼에 의한 한부모가구 비율 증가 : 1990년 8.9% -> 2010년 32.8%
* 배우자의 가출 유기 등의 사유로 한부모가족의 비율 큰 변화 없음 : 1990년 25.5% -> 2010년 25.9%
* 미혼인 한부모 비율 소폭 증가 : 1990년 9.6% -> 2010년 11.9%

  - 모자가족의 수는 125만 가구로 35만 가구의 부자가족 보다 4배가 많다 (2010년)
모자가족의 발생원인은 32.3%로 사별이 가장 높다 (이혼 28.8% / 유배우 25.5%)
부자가족의 발생원인은 47.7%로 이혼이 가장 높다 (유배우 27.1% / 사별 20.5%)

3. 한부모 가정의 어려움
  - 가족기능의 변화,대인관계,자녀양육문제,경제적어려움, 소외감, 상실감 등 다양한 문제를 경험할 수 있다.
  - 경제적 문제 : 배우자의 상실로 소득 감소와 자녀 양육 병행 등으로 안정적인 직장 확보 어려움(강기정 2005)
  - 모자한부모 가정이 부자 한 부모 가정보다 경제적인 어려움을 더 겪고 있음 (통계청 2013)
  - 자녀양육 : 심리적, 경제적의 어려움으로 자녀를 돌 볼 시간이 부족하며 마음의 여유가 부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모자가정 : 생계를 위해 직장생활을 해야 하는 어머니는 자녀와 가정을 돌볼 시간이 부족하고 신체적으로도
    힘들 것으로 생각된다.
  - 부자가정 : 경제적으로는 안정될 수는 있으나 시간적 여유가 부족할 것이고 특히 엄마의 손길이 필요한 자녀일수록
    그 어려움이 더 할 것으로 보인다.
  - 사회적 편견 : 한부모 가정이 많아지면서 조금씩 나이 지고 있겠지만 아직은 우리 사회가 한부모가정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은 것 같다. 그런 편견이 한부모가정을 위축시키고 어긋하는 아동을 만들 수도 있다.

 

  -- 사회적 편견을 생각해본다. 나는 그런 편견을 가진 적은 없었나... 말 그대로 편견 일 수도 있는데....

     생각해보니 내가 한부모가정이었다. 엄마가 삼 남매를 키우셨으니... 

     경제적으로 심리적으로 그리고 신체적으로 얼마나 힘이 드셨을까.....

      한부모가정은 OOO 하므로 힘들것이다! 라는 편견을 버리고 시작해야 한다.

     생각만으로는 감히 상상할 수도 없은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고

     생각하는 것보다 더 잘 지내고 있을 수도 있다...

     그 모든것을 파악하고 알도록 노력하는 마음과 자세가 필요한것 같다.

 

===  사회복지사 공부를 하면서 정리한 내용으로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습니다.